#업체 #휴온스 #4






📌 휴온스(HUONS) 기업 분석 인포그래픽 자료

🏢 기업 개요

  • 설립 연도: 1965년
  • 대표이사: 송수영
  • 본사 위치: 경기도 성남시
  • 상장 구분: 코스닥 상장 (2006년)
  • 사업 부문:
    • 전문의약품 (주사제, 안과용제 등)
    • 헬스케어 제품 (건강기능식품, 뷰티 등)
    • 의약외품 및 의료기기
  • 주요 계열사: 휴온스글로벌, 휴메딕스, 휴온스메디케어 등

🕰️ 연혁 요약

연도 주요 내용
1965 영일약품공업 설립 (휴온스 전신)
2003 사명 변경: 휴온스
2006 코스닥 상장
2016 지주사 체제로 전환 (휴온스글로벌 설립)
2021 mRNA 백신 위탁 생산 추진
2024 안구건조증 치료제 美 FDA 임상 진입

🧑‍💼 주요 경영진

  • 송수영 대표이사
    • 前 휴메딕스 대표
    • R&D 기반 사업 확장 주도
  • 윤성태 부회장 (지주사 총괄)
    • 창업주 2세, 지배구조 핵심

⚙️ 기술력 및 생산능력

  • 주사제 자동화 공정 (cGMP 수준)
  • 점안제 글로벌 진출 역량
  •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CMO) 역량 보유
  • 국내 최초 멸균 일회용 점안제 생산

📈 주요 매출 구성 (2024 기준)

사업 부문 비중 (%)
전문의약품 62%
헬스케어/건기식 20%
수출 10%
기타 8%

💬 주요 고객/매출처: 종합병원, 약국, 공공기관, 글로벌 제약사(CMO 수출)


💰 최근 실적 (연결기준)

항목 2023년 2024년 (추정)
매출 5,230억 원 5,600억 원
영업이익 780억 원 850억 원
영업이익률 14.9% 15.2%

🧪 연구개발 & 투자 현황

  • R&D 투자 비중: 매출의 약 8~10%
  • 신약 파이프라인:
    • 안구건조증 치료제 (HU024) → 미국 임상
    • 고지혈증 치료제 복합제
  • CMO·CDMO 확대 위한 설비 증설
  • AI 기반 신약 개발 착수

🧭 성장 전략

  • 국내 전문의약품 시장 점유율 확대
  • 수출 시장 강화 (미국, 중동, 동남아 중심)
  • 디지털 헬스케어 진출 (원격의료, 자가진단 등)
  • 바이오 CMO 사업 다각화

🧩 SWOT 분석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 강한 영업망 및 병원 납품력 - 오너 리스크 (2세 경영 불확실성)
- 점안제, 주사제 기술력 - 헬스케어 부문 경쟁 심화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
- 글로벌 제네릭·CMO 수요 증가 - 규제 강화, 약가 인하 압력
- 건강기능식품 시장 성장 - 신약개발 실패 위험

🔮 향후 전망

  • 단기: CMO, 점안제 수출 본격화로 실적 성장
  • 중기: 안구건조증 치료제 글로벌 시장 진입
  • 장기: 바이오 기반 종합 헬스케어 기업 전환





휴온스 기업 분석

개요

 휴온스는 1965년 설립된 중견 제약기업으로, 의약품, 의료기기, 건강기능식품 등을 제조 및 판매하며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으로 성장 중입니다. 주요 제품군은 주사제, 점안제, 국소마취제 등이며, 최근 ESG 경영 강화와 해외시장 진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14.

업체 이력

  • 1965년: 광명약품 공업사로 설립

  • 1998년: 국내 최초 플라스틱 용기 주사제 개발

  • 2023년: 국소마취제 ‘2% 리도카인’ 미국 FDA 승인

  • 2024년: 안구건조증 치료제 임상 1상 승인14.

경영진

  • 송수영: 대표이사 (前 Deloitte Consulting Japan)

  • 윤상배: 대표이사 (前 GSK Korea)

  • 윤성태: 그룹 회장2.

기술력

  • cGMP급 공장을 기반으로 주사제 및 점안제 생산

  • 국소마취제 리도카인 및 히알루론산 필러 기술력 보유

  • 지속적인 신약 개발(R&D) 투자로 경쟁력 강화14.

매출처

  • 주요 매출은 전문의약품(주사제, 점안제), 건강기능식품(프로바이오틱스, 루테인), 의료기기(연속혈당측정기)에서 발생

  • 북미를 포함한 글로벌 시장에서 리도카인 수출 비중 증가13.

최근 실적

  • 2024년 3분기 매출 1,469억 원, 영업이익 87억 원 기록 (전년 대비 매출 6.3% 증가)

  • 연간 매출 예상치 약 6,353억 원36.

투자 현황

  • 제천공장 증설 및 생산라인 확대

  • 안구건조증 치료제 등 신약 개발 투자

  • ESG 경영 강화 및 지속가능성 프로젝트 추진45.

예상 실적

  • 2025년 하반기부터 주사제 라인 가동으로 성장 가속화 전망

  • 리도카인 수출 증가와 뷰티·웰빙 제품군 확대로 안정적 성장 예상3.

휴온스 SWOT 분석

강점 (Strengths)

  •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 전문의약품(주사제, 점안제), 건강기능식품, 의료기기 등 여러 분야에서 안정적인 매출 구조 확보13.

  • 글로벌 경쟁력: FDA 승인 경험과 미국 법인 설립으로 북미 시장 진출 확대4.

  • R&D 역량: 안구건조증 치료제, 효소제 등 신약 개발 파이프라인 보유24.

  • 효율적 생산 인프라: cGMP 기준의 생산시설과 제천 제2공장 가동으로 생산력 증대4.

약점 (Weaknesses)

  • 높은 의존도: 특정 제품군(리도카인 등)의 매출 비중이 높아 시장 변화에 민감4.

  • 마케팅 비용 증가: 신제품 출시와 글로벌 확장에 따른 비용 부담이 수익성에 영향4.

기회 (Opportunities)

  • 건강기능식품 성장: 뷰티·웰빙 제품군(엘루비, 이너셋 등)과 OEM/ODM 사업 확대로 시장 점유율 확대 가능성13.

  • 해외시장 확장: 북미 외 유럽, 동남아 등 신규 시장 진출 계획4.

  • ESG 경영 강화: 지속가능 경영과 ESG 활동을 통한 기업 이미지 개선3.

위협 (Threats)

  • 경쟁 심화: 글로벌 제약사와의 경쟁 및 국내 중견 제약사 간 시장 점유율 확보 경쟁26.

  • 환율 및 규제 리스크: 해외 매출 비중 증가로 인한 환율 변동성과 각국 규제 강화 가능성5.

휴온스는 강력한 제품 포트폴리오와 글로벌 경쟁력을 바탕으로 성장 중이나, 특정 제품 의존도와 비용 부담 관리가 주요 과제로 보입니다.



휴온스 기술력 요약

  • 생산 및 품질 기술

    • 국내 최초 플라스틱 주사제 용기 개발 경험과 cGMP(국제 우수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급 제천 공장 가동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하루 27만 병(모노도스), 14만 병(멀티도스) 생산이 가능한 대규모 자동화 생산능력을 갖췄으며, 무방부제 히알루론산 인공눈물 ‘카이닉스’는 국내 시장 점유율 1위, 미국 알콘사를 통한 글로벌 판매 실적도 있습니다12.

  • 바이오의약품 및 신약 개발

    • 바이오기업 팬젠 인수를 통해 바이오의약품 연구개발(R&D)과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 역량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인간유래 히알루로니다제 등 정맥주사(IV) 제형을 피하주사(SC)로 전환하는 신기술 개발 및 임상시험을 진행 중입니다. 이 기술은 항암제, 항체의약품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69.

  • 연구개발(R&D) 및 협업

    • 휴온스랩과 팬젠은 바이오의약품 공정 특성화 연구, 임상 시료 생산, 품목허가를 위한 밸리데이션 등 상업화에 필요한 표준 공정 설계와 품질 최적화에 집중하고 있습니다810.

    • 히알루론산, PDRN 등 원료 기반 에스테틱 및 바이오의약품 개발 핵심 기술도 보유하고 있습니다5.

  • 글로벌 경쟁력

    • 미국 FDA ANDA(약물허가) 4년 연속 획득, 글로벌 제약사와의 협업, 해외 시장 진출 경험 등으로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기술력과 품질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1.

정리:
휴온스는 대규모 자동화 생산, 무방부제 인공눈물 등 국내외 시장 1위 품목, 바이오의약품 R&D, CDMO, 신약 개발, 글로벌 품질 인증 등에서 높은 기술력과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휴온스 최근 투자현황 요약

주가 및 시장 동향

  • 2025년 4월 기준, 휴온스글로벌의 주가는 최근 3일간 약 2.27% 하락해 51,400원을 기록했습니다. 이 하락은 약물 허가 지연 우려와 바이오 헬스케어 업종 전반의 침체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5.

  • 신용 잔고가 급증(56만)하여, 주가에 추가적인 하락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반대매매 위험도 언급되고 있습니다5.

재무 및 사업 현황

  • 최근 분기 기준 매출 성장률은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 영업이익률도 5%에서 7%로 개선되었습니다. 이는 신제품 출시와 해외 시장 진출 덕분입니다5.

  • 2025년 상반기 출시 예정인 바이오 의약품 신제품이 기업의 미래 성장 동력으로 기대받고 있습니다. 임상시험 결과와 시장 반응에 따라 주가 회복 가능성도 있습니다5.

투자자 반응 및 전망

  • 주가 하락세에도 불구하고 일부 투자자들은 매수 적기라는 의견을 내고 있습니다. 그러나 약물 허가 지연, 신용 잔고 급증, 특허 소송 리스크 등 단기적 리스크 요인에 대한 우려도 큽니다5.

  • 휴온스는 연구개발 투자와 신제품 출시를 통해 경쟁력 강화를 지속하고 있습니다5.

요약 표

항목최근 현황
주가51,400원(최근 3일 -2.27% 하락)5
신용 잔고56만, 반대매매 리스크5
매출 성장률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5
영업이익률5% → 7%로 개선5
주요 이슈약물 허가 지연, 신제품 출시 기대5
투자자 반응매수 적기 vs. 단기 리스크 우려5

휴온스는 단기적으로는 시장 불확실성과 리스크가 있으나, 신제품 출시와 매출 성장 등 중장기 성장 모멘텀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휴온스 향후 전망

  • 지속 성장 및 글로벌 진출
    휴온스는 차세대 제품 개발과 글로벌 시장 진출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됩니다. 바이오의약품, 주사제, 신제품 출시 등에서 강점을 보이며, 북미·유럽 등 해외 시장 확대와 파트너십으로 매출 다변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156.

  • 생산능력 및 신사업 강화
    제천 2공장 신규 주사제 생산라인이 하반기 가동 예정이며, 바이오의약품 사업 역량 강화로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생산 효율성 증대와 수출 확대가 매출 성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입니다46.

  • 재무 및 실적 전망
    2024년 매출은 8000억 원대 중반, 2025년에는 1조 원 돌파가 예상됩니다. 최근 1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5% 증가했고, 바이오의약품 부문이 전체 매출의 60%를 차지합니다157.

  • 리스크 및 과제
    판관비 증가로 영업이익이 다소 감소했고, 신용 잔고 증가 등 주가 변동성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비용 관리와 수익성 개선이 중요한 과제로 지적됩니다16.

  • 투자자 평가
    업계와 투자자들은 휴온스의 성장성과 글로벌 확장 전략에 긍정적 평가를 내리고 있으며, 중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성장세가 기대된다는 의견이 많습니다126.

“신규사업 강화와 글로벌 생산기지 구축으로 미래 성장토대를 확보하는 데 더욱 힘을 쓸 것” — 윤성태 휴온스그룹 회장5

정리:
휴온스는 신제품 출시, 생산능력 확대, 글로벌 시장 진출을 바탕으로 중장기 성장세가 기대되며, 2025년 1조 매출 달성도 가시권에 있습니다. 다만 비용 관리와 시장 변동성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휴온스 주요 매출처

  • 전문의약품(ETC):
    마취제, 순환기계, 소화기계 등 다양한 질환군별 의약품 처방 매출이 고르게 성장하며, 2023년 ETC 부문 매출은 2,612억 원으로 전년 대비 22% 증가했습니다. 특히 마취제 등 주사제는 북미 시장 수출이 크게 늘었습니다6.

  • 수출:
    미국 FDA 허가를 받은 리도카인 등 주사제 5개 품목이 북미 시장에서 연간 262억 원 수출을 기록하는 등 해외 매출 비중이 꾸준히 확대되고 있습니다6.

  • 뷰티·웰빙(비급여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비타민 주사제, 건강기능식품, 갱년기 유산균(메노락토) 등 비급여 의약품과 건강기능식품 매출이 1,888억 원으로 전년 대비 8% 증가했습니다. 메노락토는 온라인과 자사몰 매출이 크게 늘었습니다6.

  • 수탁(CMO) 사업:
    점안제 등 위탁생산(CMO) 매출이 650억 원을 기록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6.

정리:
휴온스의 주요 매출처는 전문의약품(국내외 처방 및 수출), 비급여 의약품과 건강기능식품, 그리고 위탁생산(CMO) 부문입니다. 북미 등 해외 수출과 건강기능식품, 점안제 매출 비중이 꾸준히 확대되고 있습니다6.



휴온스 성장 비결 및 최근 전략 요약

핵심 성장 요인

  • 휴온스는 매년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하며 2023년 처음으로 매출 5,000억 원을 돌파했고, 2025년에는 1조 원 매출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음24.

  • 성장의 핵심은 타이밍을 놓치지 않는 강한 실행력과 과감한 M&A, 사업 다각화에 있음.

주요 사업 전략

  • 전문의약품(이상지질혈증, 고혈압 등)과 비만·웰빙 시장에서 제품력, 품질 경쟁력 강화로 시장 점유율 확대2.

  • 북미 시장 주사제 수출 확대(리도카인 등), FDA 승인 품목 증가로 글로벌 경쟁력 강화7.

  • 건강기능식품(메노락토, 전립선 사군자 등)에서 메가브랜드 육성, 매출 성장 견인2.

  • 당뇨환자용 연속혈당기(덱스콤 G7)와 스마트인슐린전동펜 등 디지털 헬스케어 신사업 확대6.

R&D 및 생산 인프라

  • 안구건조증 치료제 등 신약 파이프라인 개발, 복합 점안제 임상 3상 진행 중.

  • 2공장 증설로 점안제, 주사제, 카트리지 생산능력 대폭 확대. 국내외 허가 및 수출 준비14.

M&A 및 신사업

  • 바이오기업(팬젠) 인수, CDMO(위탁개발생산) 사업 강화로 신성장 동력 확보5.

  • 밀키트(HMR) 사업 진출, 건기식-의료기기-헬스케어 부자재 등 사업 다각화2.

중장기 목표

  • 계열사 간 시너지 극대화, 글로벌 시장 확대(미국·일본 법인 통한 협력).

  • 오픈 이노베이션, 인재 영입, 인프라 확장 등 혁신 역량 강화로 미래 성장동력 확보12.

요약
휴온스는 빠른 실행력, 사업 다각화, R&D 투자, 생산 증설, 글로벌 시장 공략, 신사업 진출 등으로 고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2025년 1조 매출 달성을 위한 기반을 착실히 다지고 있음245.



text
[휴온스 2025년 이후 전망 인포그래픽]

🚀 핵심 성장 동력

  • 글로벌 진출 가속

    • 미국, 일본, 호주, 브라질, 중남미, 유럽 등 주요 시장 공략

    • ‘BIO USA 2025’ 등 글로벌 행사 참여로 브랜드 및 기술력 강화

  • 신사업 및 R&D

    • 바이오의약품 CDMO(위탁생산) 사업 확대, 팬젠 인수로 시너지 극대화

    • 신약 개발 및 혁신 의료기기(피부·부인과 등) 출시 계획

    • 점안제 라인 가동률↑, 지방분해주사제·미용시술 신사업 진출

  • 수출 확대

    • 리도카인 등 전문의약품 미국 FDA 제네릭 허가 추진

    • 일본, 이라크, 베트남 등 수출국 다변화

  • 매출 목표

    • 2025년 매출 1조 원(그룹 기준) 달성 목표

    • 2024년 연결 매출 8,000억 원 돌파 예상

📈 긍정적 전망 요인

  • K-바이오 글로벌 인지도 상승: 정책 지원, 글로벌 행사 효과

  • 연구개발 투자 확대: 2025년 1분기 R&D 투자 178억 원(+34%)

  • 주주가치 제고: 배당 확대, 주주환원 정책 강화

  • ESG 경영: 지속가능 경영 및 사회공헌 강화

⚠️ 리스크 및 과제

  • 수익성 하락: 원가율 상승, 내수 의존도(내수:수출=9:1) 높음

  • 경쟁 심화: 보툴리눔 톡신 등 미용·바이오 시장 경쟁 격화

  • 지배구조 개선 필요: 경영진·지배구조에 대한 투자자 우려

  • 글로벌 시장 진입 장벽: 일본 등 오리지널 의약품 중심 시장에서의 경쟁

🏷️ 종합 평가

  • 전망:

    • 글로벌 진출, 신사업, R&D 투자 확대 등으로 중장기 성장 기대

    • 수익성·경쟁·지배구조 등 구조적 과제 해결이 관건

    • 투자자 심리 및 글로벌 K-바이오 트렌드에 힘입어 긍정적 모멘텀 지속

요약:
휴온스는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에서의 성장 잠재력과 신사업 추진력을 바탕으로
중장기적으로 긍정적 전망이 우세하나, 수익성·경쟁 심화·지배구조 등
내실 강화와 글로벌 시장 확대가 핵심 성공 요인입니다.



휴온스 2025년 2·4분기 주요 실적

  • 매출액: 1,560억원 (전년 동기 대비 4.7% 증가)

  • 영업이익: 131억원 (전년 동기 대비 40.3% 증가)

  • 순이익: 118억원 (전년 동기 대비 46.5% 증가)

  • 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 기록 경신

  • 전문의약품사업 매출: 691억원 (3.9% 증가)

  • 북미 주사제 수출: 54억원 (51% 증가)

  • 뷰티·웰빙 사업 매출: 422억원 (건기식사업 제외 시 370억원, 7.7% 증가)

  • 건강기능식품 자회사 휴온스엔과 완제 의약품 제조 회사 휴온스생명과학 모두 흑자 전환

  • 팬젠, 6월부터 연결 종속기업 편입

  • 5월 FDA로부터 1%, 2% 리도카인 주사제 멀티도즈 바이알 의약국 품목허가(ANDA) 승인

  • 3분기 가동 예정인 2공장 신규 주사제 라인으로 하반기 매출 및 수익성 개선 목표

  • 송수영 대표: “기존 사업 성장과 종속회사 호조로 분기 최대 실적 기록, 하반기 신규 생산시설 가동으로 외형 성장과 수익성 확보 기대”

이상은 휴온스 2분기 실적 및 향후 계획 핵심 내용입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신문#25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