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체 #오성첨단소재 #3
오성첨단소재 개요 및 주요 정보
회사 개요
오성첨단소재는 1994년 설립된 디스플레이 제조 설비 및 소재 전문 기업으로, 주요 제품은 기능성 소재 필름(PET 보호필름 등)입니다. 본사는 전라북도 익산시에 위치하며, 대표이사는 김유신입니다167.
경영진
실적
기술력
오성첨단소재는 디스플레이 소재 기술 노하우를 바탕으로 PET 보호필름 국산화에 성공했으며, 지속적인 R&D 투자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폴더블폰 신제품 관련 기술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14.
매출처 및 점유율
해외 매출 및 투자
전망
오성첨단소재는 디스플레이 시장 성장과 신제품 출시로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특히 해외 시장 공략과 기술 개발로 높은 성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34.
오성첨단소재의 주요 기술력
PET 보호필름 국산화: 일본 의존도가 높았던 PET 보호필름을 국산화하여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경쟁력을 확보했습니다13.
다양한 기능성 필름 개발:
FPD(Flat Panel Display)용 고기능성 광학 필름: OLED, LCD 디스플레이 제품에 적용되는 고품질 필름을 생산하며, 품질과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15.
연구개발 역량: 기업부설연구소를 통해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및 신제품 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 중입니다13.
이 기술력은 국내외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오성첨단소재의 입지를 강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주요 특허 현황
디스플레이 소재 관련 특허
광학 필름: 광학 필름 제조 기술(등록번호 631753, 631752).
비산방지용 점착시트: 터치기기 및 비산방지용 점착시트 제조 기술(등록번호 1651223)5.
적외선 차단 필름: 적외선 차단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기술(등록번호 1552920)5.
대전방지 방현필름: 대전방지 고해상 방현필름 제조 방법(등록번호 963248)5.
전사 필름: 전사 필름 제조 방법(등록번호 946201)5.
의료용 대마 관련 특허 (자회사 카나비스메디칼)
국내 최초 마리화나 치료제 특허: 칸나비디올(CB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대한 특허16.
신경세포 배양 플랫폼: 해조류 기반 생체친화적 재료를 활용한 신경세포 배양기술 특허2.
이러한 특허는 디스플레이 산업과 의료용 대마 시장에서 오성첨단소재의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내수와 수출 비중
내수 비중: 약 55%
수출 비중: 약 45%
점유율에 대한 구체적인 시장 데이터는 제공되지 않았으나, 오성첨단소재는 국내외 디스플레이 기업을 대상으로 기능성 소재 필름을 납품하며 안정적인 내수 매출을 기반으로 대만, 중국 등 디투자 활동
1. 유상증자
2024년 말, 약 50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통해 운영자금을 확보했습니다. 이를 통해 생산 시설 확충, 연구개발 투자, 신규 사업 기회를 모색하며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2.
2. 자산 매각
2025년 초, 충남 아산시 소재 건물 및 토지를 210억 원에 매각하여 핵심 사업에 집중하고 현금 유동성을 확보했습니다. 이 자금은 부채 상환 및 연구개발 투자에 활용될 예정입니다4.
3. 연구개발 투자
디스플레이 소재 기술과 의료용 대마 관련 기술 개발에 집중하며, KAIST와 협력하여 의료용 대마 연구를 진행 중입니다8.
4. 자사주 매입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지속적으로 자사주를 매입하며, 연말 배당을 검토하는 등 주주 친화적인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6.
이러한 투자는 오성첨단소재의 장기적 성장과 재무 안정성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향후 전망
1. 디스플레이 시장 성장
OLED 시장은 스마트폰, TV, 차량용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응용처에서 확대되고 있으며, 2030년까지 연평균 36%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24.
오성첨단소재는 OLED 보호필름 등 고부가가치 제품을 통해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지속적인 매출 성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36.
2. 의료용 대마 사업
자회사 카나비스메디칼이 국내 최초로 마리화나 치료제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의료용 대마 시장은 2032년까지 연평균 8.3%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35.
의료용 치료제, 식의약품, 뷰티 제품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을 다각화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5.
3. 리스크 및 도전 과제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중국 경쟁사의 추격과 기술 격차 유지가 중요하며, 지속적인 R&D 투자와 차별화된 기술 확보가 필요합니다24.
의료용 대마 사업은 규제 완화와 사회적 인식 변화에 따라 성공 여부가 좌우될 수 있습니다5.
이러한 요인들을 바탕으로 오성첨단소재는 기존 디스플레이 사업의 안정적 성장을 기반으로 신사업 확장을 통해 장기적인 성장을 도모할 전망입니다.
SWOT 분석
Strengths (강점)
기술력: 디스플레이 보호필름 및 기능성 필름 분야에서 국산화를 이뤄내며 품질과 원가 경쟁력을 확보1.
다각화된 사업 포트폴리오: 디스플레이 소재 외에도 의료용 대마 사업(자회사 카나비스메디칼)을 통해 신성장 동력을 확보39.
R&D 역량: KAIST와 협력하여 차세대 기술 개발 및 연구개발에 지속적으로 투자9.
Weaknesses (약점)
의존도 높은 시장: 주 매출처가 디스플레이 산업에 집중되어 있어 특정 시장 의존도가 높음.
Opportunities (기회)
Threats (위협)
경쟁 심화: 중국 등 경쟁사의 기술 발전과 가격 경쟁으로 인해 시장 점유율 유지 어려움.
경제 불확실성: 글로벌 경기 침체 시 디스플레이 및 신사업 수요 감소 가능성.
이 분석을 통해 오성첨단소재는 기존 디스플레이 사업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의료용 대마와 같은 신사업 확장을 통해 장기적인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해야 합니다.
📌 기업 개요
- 설립: 1994년
- 상장: 2001년 코스닥
- 본사: 전북 익산
- 주요 사업:
- 디스플레이용 필름 제조 (매출 90%)
- 의료용 대마(CBD) 연구개발
- 부동산 임대 및 물류 사업 다각화
📊 최근 실적 요약 (2023~2024)
구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
2023년 | 1,073억 | 54억 | 32억 |
2024년 1Q | 312억 (+47%) | 18억 (+166%) | 10억 (+110%) |
2024년 3Q | 298억 (+37%) | 15억 (+74%) | 8억 (-48%) |
- 총평: 매출·영업이익은 꾸준히 증가, 순이익은 일회성 비용 영향으로 변동
💼 사업별 핵심 포인트
① 디스플레이용 필름 (주력)
- 제품: 광학 필름, 열차단 필름 (TV, 모니터 등)
- 고객사: 삼성, LG 등 추정
- 매출 비중: 약 90%
② 의료용 대마 (CBD)
- 자회사: 카나비스메디칼 (KAIST 협력)
- 활용: 뇌전증, 자폐, 통증 등 치료 후보물질
- 강점: 국내 최초 특허·국제학술지 발표
③ 부동산·물류
- 물류: 천지해운 인수(2024년) → 사업 다각화
- 부동산: 청년주택 관련 자회사 운영 중
📈 주가 동향 및 기술적 분석 (2025.6 기준)
- 현재가: 4,800원
- PER: 18.1배 (실적 대비 무난)
- 지지선: 4,200~4,300원
- 저항선: 4,850~5,000원 돌파 시 5,600원 도달 가능성
- 주봉 추세 하단: 2,360원 (하락 시 손절 고려)
🔍 성장 요인 (장점)
✅ 꾸준한 실적 증가 (디스플레이 수요 회복)
✅ CBD 시장 성장 (연평균 20%↑, 글로벌 추세)
✅ 다각화 전략 (물류·부동산 등 안정적 캐시플로우)
✅ 기술력: 디스플레이/소재 노하우 + KAIST 협력
⚠️ 리스크 요인 (단점)
❗ 순이익 변동성 (일회성 비용 존재)
❗ CBD 사업 불확실성 (국내 규제 여전히 엄격)
❗ 경쟁 심화 (대기업과의 가격·기술 경쟁)
❗ 외국인/기관 비중 낮음 → 주가 유동성 약함
📌 투자 전략 제안
투자 성향 | 전략 |
---|---|
보수적 | 4,200~4,300원 부근 분할 매수 → 실적 추적하며 대응 |
적극적 | 대마 관련 호재(법안, 공시 등) 발생 시 단기 매매 |
손절 기준 | 2,360원 이탈 시 리스크 관리 |
📝 향후 모니터링 포인트
- ✅ 카나비스메디칼의 CBD 연구 상용화 속도
- ✅ 분기 실적 (특히 당기순이익 회복 여부)
- ✅ 대마 합법화 정책 변화 (미국, 유엔 등)
- ✅ 디스플레이 수요/원자재 가격 흐름
✅ 결론 요약
“디스플레이 소재로 안정성 확보, CBD 연구개발로 성장 잠재력 확보”
실적·기술 모두 개선세로, 중장기 관점에서 매력적인 종목.
단기 급등락(테마성) 주의하며 보수적 분할 접근이 바람직.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