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체 #JW생명과학#5
🧪 JW생명과학 한눈에 보기 (Infographic Style)
🏢 기업 개요
- 주요사업: 수액제 생산 (기초수액·종합영양수액 TPN)
- 생산기지: 충남 당진 공장
- 대표이사: 함은경 (2024년 선임)
📈 2024~2025 실적
항목 | 2024년 | 2025년 전망 |
---|---|---|
매출 | 2,239억 원 (+8.3%) | 2,400억 원 (+7.2%) |
영업이익 | 336억 원 (+8.8%) | 369억 원 (+9.8%) |
💊 핵심 제품 기술
- 🟩 Non-PVC 수액 용기
→ 친환경·안전성↑, 美 FDA·中 SFDA 인증 - 🟦 TPN 제품군 (위너프, 위너프A플러스)
→ 고영양·고마진 제품 - 🟨 산소 차단 포장 기술
→ 제품 안정성 향상
🌍 글로벌 전략
투 트랙 전략
- 동남아: 유비팜 인수로 생산 거점 확보
- 미국·유럽: TPN ‘피노멜’ 수출 + 원료의약품 수출
기술수출: 중국·유럽에 TPN 기술이전
EU-GMP 인증: 글로벌 신뢰 기반 구축
🧬 R&D 중심 전략
- 연간 R&D 투자: 60~70억 원
- 주요 연구:
- 특수수액·항생제 혼합 수액
- 영양성분 개선형 TPN
🏭 생산 인프라
- 자동화 설비 6개 라인
- 연 1억 5천만 개 이상 생산
- 당진 TPN 설비 → 37% 증설
📦 CMO(위탁생산) 사업 성장
- 고객사: SK케미칼, 녹십자웰빙 등 20여 개
- CMO 매출 비중: 12.4% → 15% 확대 전망
- 고마진 품목(TPN 등) 위주 생산
📊 주요 매출 구성
- 🧷 JW중외제약 (82.2%) – 국내 유통 전담
- 🏭 CMO (12.4%) – B2B 위탁 생산
- 🌐 수출 (3.8%) – 미국, 유럽, 아시아 등
🔍 SWOT 분석 요약
구분 | 내용 |
---|---|
✅ 강점 | - 수액 시장 점유율 1위 - Non-PVC·TPN 등 기술력 - 글로벌 인증 보유 |
❗ 약점 | - 내수 의존도 큼 - 고기능 제품 생산비용 높음 |
🔼 기회 | - 고령화로 수요↑ - 수출 시장 확대 - CMO 확대 가능성 |
⚠️ 위협 | - 글로벌 경쟁 심화 - PVC 규제 강화 - 환율 리스크 |
🔮 2025년 전망
- 📈 매출: 2,435억 원 예상
- 💰 영업이익: 396억 원 예상
- 🧪 신제품: 체임버백 개선, 신소재 영양소 개발
- 🌍 비전: SPN 연구로 TPN 효과 입증 → 국내외 리더십 강화
JW생명과학 개요 및 분석
1. 업체 개요
JW생명과학은 국내 수액제 시장의 선도 기업으로, 영양수액(TPN) 및 다양한 수액 제품을 생산합니다. 주요 사업은 의료용 수액제이며, 당진 공장에서 생산량을 확대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도 추진 중입니다238.
2. 경영진
2024년 3월, 함은경 대표가 새로 선임되었습니다. 그는 JW중외제약과 JW메디칼에서 주요 직책을 역임하며 경영 경험을 쌓았습니다16.
3. 실적
2024년 매출은 2,239억 원(YoY +8.3%), 영업이익은 336억 원(YoY +8.8%)으로 견고한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2025년에는 매출 2,400억 원, 영업이익 369억 원이 전망됩니다24.
4. 기술력
JW생명과학은 Non-PVC 소재 개발, TPN 제품 등 고부가가치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국제 규제에 부합하는 의약품 개발로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38.
5. 매출처
주요 매출처는 병의원 및 대형병원으로, 특히 영양수액 제품이 높은 비중을 차지합니다. 계열사 JW중외제약과 협력하여 안정적인 공급망을 유지하고 있습니다23.
6. 투자 및 전망
생산설비 증설과 신제품 출시로 매출 성장이 지속될 전망입니다. 투자 의견은 '매수'로 유지되며, 목표 주가는 19,000원으로 상향 조정되었습니다49.
JW생명과학은 기술 혁신과 글로벌 확장을 통해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JW생명과학의 주요 기술 혁신
Non-PVC 수액 용기 개발: 기존 PVC 용기의 환경 및 안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Non-PVC 소재를 자체 개발하여 친환경적이고 약물 안정성이 높은 수액 용기를 상용화했습니다. 이 기술은 미국 FDA와 중국 SFDA 인증을 획득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했습니다13.
TPN(종합영양수액) 개발: 다양한 영양소(포도당, 아미노산, 지질 등)를 포함한 고부가가치 영양수액 제품을 개발하여 환자의 영양 상태를 개선하고 치료 효과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13.
수액 포장 기술: 산소와 수분 차단성을 강화한 포장 기술(Container Closure System)을 통해 제품 품질과 안전성을 향상시켰습니다3.
글로벌 품질 기준 충족: 국제 규제에 부합하는 고품질 의약품 연구 및 생산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을 확대하고 있습니다13.
JW생명과학의 글로벌 진출 전략
투 트랙 전략
기술수출 및 현지화
R&D 기반의 경쟁력 강화
중장기 성장 목표
JW생명과학의 CMO(위탁생산) 매출이 증가한 이유
고객사 확대
수요 증가와 설비 확충
고마진 제품 생산
시장 환경 변화
이러한 요인들이 결합해 CMO 매출 비중은 15% 수준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2.
JW생명과학의 주요 매출처
JW중외제약
B2B(CMO) 고객사
CMO(위탁생산) 사업은 매출의 12.4%를 차지하며, SK케미칼, 녹십자웰빙 등 다수의 제약사와 협력하고 있습니다1.
수출 시장
JW생명과학의 전망
안정적인 내수 성장
해외 수출 확대
미국 박스터사와의 독점 계약을 기반으로 한 수출 증가와 유럽, 동남아시아, 중국 등 글로벌 시장 진출이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EUGMP 인증을 바탕으로 해외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2.
CMO 사업 성장
기존 고객사 외에도 신규 고객사를 확보하며 CMO(위탁생산) 매출이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익률이 높은 고부가가치 제품 위탁생산이 매출과 수익성 개선에 기여할 것입니다2.
생산설비 증설 효과
2025년에는 매출 2,400억 원(+7.2% YoY), 영업이익 369억 원(+9.8% YoY)이 예상되며,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됩니다12.
JW생명과학의 R&D 능력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기술수출 성과
중국 산둥뤄신제약그룹과의 기술수출 계약 등으로 글로벌 매출 확대에 기여했습니다. 이러한 기술수출은 JW생명과학의 R&D 경쟁력을 입증하며 추가 매출원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3.
생산 효율성 강화
R&D를 통해 생산 공정을 최적화하고, TPN 생산라인 증설로 공급 능력을 확대하면서 매출 증가와 비용 효율성을 동시에 달성했습니다4.
글로벌 시장 진출 기반 마련
R&D로 개발한 Non-PVC 수액 용기와 국제 규격을 충족하는 제품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며 수출 매출 증가에 기여하고 있습니다3.
JW생명과학의 지속적인 R&D 투자와 신제품 개발은 안정적인 내수 성장과 글로벌 시장 확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JW생명과학 SWOT 분석
1. Strengths (강점)
국내 수액 시장 점유율 1위: 기초수액 및 종합영양수액(TPN)에서 압도적 시장 점유율을 보유하며, 안정적인 매출 기반을 확보16.
고부가가치 제품 기술력: Non-PVC 수액 용기 및 TPN 자동화 생산 기술 등 차별화된 기술력을 통해 경쟁 우위를 유지25.
글로벌 인증 획득: EU-GMP 인증 및 미국 FDA 승인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신뢰를 확보5.
2. Weaknesses (약점)
내수 의존도 높음: 매출의 대부분이 국내 시장과 관계사(JW중외제약) 판매에 의존, 해외 매출 비중이 낮은 편7.
높은 생산 비용: Non-PVC 용기 등 고기능성 제품 생산에는 높은 기술력과 비용이 요구됨2.
3. Opportunities (기회)
CMO 사업 확장: 국내외 제약사와의 위탁생산(CMO) 계약 확대를 통해 추가 매출원 확보 가능7.
4. Threats (위협)
경쟁 심화: 국내외 경쟁사들의 기술력 향상과 시장 점유율 확대 시도6.
규제 강화: 환경 문제로 PVC 용기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면서 생산 공정 변경 및 비용 상승 가능성2.
환율 변동 리스크: 해외 매출 확대에 따라 환율 변동에 따른 수익성 변동 위험 존재7.
JW생명과학은 강력한 기술력과 시장 지위를 바탕으로 글로벌 확장 기회를 적극 활용하고 있지만, 내수 의존도를 줄이고 경쟁 심화에 대비한 전략적 대응이 필요합니다.
JW생명과학 연구개발(R&D) 현황
2024년 1분기 연구개발비는 약 12억 원, 매출의 2.3% 수준입니다. 2023년에는 매출의 3.1%인 62억 원을 R&D에 투자해, 업계 평균 대비 투자 비율이 낮은 편입니다7.
주요 R&D 분야는 고기능 영양수액, 노령 환자용 특수수액, 항생제 혼합 수액 등입니다. 자체 HP연구센터를 통해 연간 60~70억 원 규모의 연구비를 투입해 신제품 개발과 제조공정 개선을 지속하고 있습니다634.
최근에는 영양성분을 개선한 신제품 ‘위너프에이플러스’ 등을 출시하며, 특허 확보와 포트폴리오 확장에 집중하고 있습니다6.
JW생명과학은 아시아 최초로 종합영양수액(TPN) 생산시설에 대해 EU-GMP 인증을 획득해 세계적 수준의 생산 인프라와 기술력을 인정받았습니다15.
설비 투자 현황
2006년 국내 최초 Non-PVC 수액제 전용공장 준공, 6개 생산라인 구축6.
2017년 세계 최대 수준(연 8백만 개)의 영양수액 전자동 생산라인 2개 추가 가동6.
2022년에는 소용량 수액까지 생산 가능한 자동화 라인(영양수액 3라인) 완공, 연간 최대 1억 5천만 개 이상 생산 가능한 설비 능력 확보6.
2023년 10월 당진 공장 증설로 TPN 생산능력 37% 확대(연 1,400만 개)6.
자동화 설비 투자와 규모 확장으로 생산원가 절감과 수익성 개선을 지속 추진 중입니다6.
요약:
JW생명과학은 수액제 R&D와 신제품 개발에 연간 60억~70억 원 규모를 투자하며, 자동화·대형 생산설비 확충을 통해 생산성과 경쟁력을 높이고 있습니다.
기사 목차형 요약
1. JW생명과학 소개 및 시장 리더십
JW생명과학은 국내 종합영양수액(TPN) 시장 점유율 과반으로 업계 1위를 유지
2022~2024년 TPN 시장점유율: 52.0%(2022), 49%(2023), 54.6%(2024)
2. 시장 성장 및 매출 현황
국내 TPN 시장 규모: 1,381억원(2022) → 1,800억원(2023) → 약 2,000억원(2024)
JW생명과학의 TPN 매출: 663억원(2022), 709억원(2023), 759억원(2024)
2024년 1분기 TPN 매출: 228억원(전년 동기 대비 29.7% 증가, 전체 매출의 36.7%)
3. 제품 및 기술력
TPN 세대별 구분:
1세대: 정제대두유
2세대: 정제대두유 + 올리브유·코코넛오일
3세대: 위 성분 + 정제어유 추가
4세대: 고아미노산 기반 등 신기술, 아미노산 함량 강화
JW생명과학은 위너프페리주(3세대), 위너프에이플러스주(4세대) 등 다양한 라인업 보유
4. 생산 및 수출 역량
당진공장: 3개 자체 생산라인, 다양한 용량 자동화 설비(200㎖ ~ 1,000㎖ 이상)
GMP(의약품 제조) 및 EU-GMP 국제 인증 공장
연간 생산능력 약 1,400만개
아시아 제약사 최초로 유럽, 몽골 등 해외 TPN 수출 및 CMO(위탁생산) 사업 진행
5. 신제품 및 라인업 확장
최근 '위너프에이플러스페리주' 733㎖ 용량 추가, 기존 654/1,085/1,450㎖와 함께 총 4종 라인업
6. 성장 전망 및 미래 전략
증권가: 2025년 매출(전년비 9.4%↑, 2,435억원 예상), 영업이익(10.5%↑, 396억원 예상)
미래 전략: 체임버백 개선, 신소재 영양소 발굴 등 차별화 전략 강화 및 신제품 개발 지속
7. 연구 및 글로벌 비전
SPN(보충적 정맥영양요법) 관련 연구로 TPN 효과 입증, 국내외 시장 리더십 강화 의지
이와 같이 기사 내용을 목차별로 핵심만 정리했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