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체 #유비벨록스 #5
📌 유비벨록스 (UBIVELOX) 한눈에 보기
🔍 1. 기업 개요
- 설립: 2000년
- 상장: 2010년 코스닥
- 본사: 서울 구로
- 주요 자회사: 팅크웨어(블랙박스), 아이나비시스템즈(지도), 팅크웨어모바일(가전)
👨💼 2. 경영진
- 대표: 이흥복 (서울대 전기컴퓨터공학 석사)
- CFO: 강정규
⚙️ 3. 기술 경쟁력
- 국내 스마트카드 1위 (메탈카드, 지문인식카드 등)
- 디지털키·eSIM·양자내성암호 등 보안·인증 기술 확보
- ADAS 지도, 커넥티드 블랙박스, IoT 생활가전 보유
- AI·딥러닝 기반 차량·음성 솔루션 개발
📈 4. 2023년 실적
- 총 매출: 5,436억 원
- 환경가전: 2,082억 (38%)
- 블랙박스: 1,888억 (35%)
- 스마트카드: 1,238억 (23%)
🌍 5. 해외 시장
- 수출국: 미국, 유럽, 중동, 동남아 등 30여 개국
- 스마트카드 해외 매출:
- 2021: 150억 → 2022: 260억 → 2023상반기: 230억
- 블랙박스 해외 매출 비중: 30% 이상
💼 6. 주요 고객
- 공공기관 (모바일 신분증, 운전면허증)
- 글로벌 자동차 업체 (BMW 등)
- 대형 유통사, 홈쇼핑, 통신사 (IoT, 가전)
🧪 7. 연구개발 (R&D)
- 연간 수백억 투자 (매출의 3~5%)
- 주요 개발:
- eSIM 국산화
- 양자암호 보안 플랫폼
- BLE 카드, 스마트싱스 연동
- 자율주행 ADAS, AI 차량 기술
🔒 8. eSIM 국산화 성과
- 외산 기술 의존 ↓
- KCMVP 및 양자내성암호 적용 → 보안 강화
- 자동차·가전·스마트팩토리 분야 확장 기대
📊 9. 향후 전망
- 2024 매출 목표: 6,400억~6,800억
- 영업이익 예상: 600억 원대
- 성장 모멘텀:
- 고부가 IC칩 비중 증가
- 동남아 등 해외시장 확대
- eSIM, 마이데이터, 커넥티드카 등 신사업 본격화
- 아이나비시스템즈 상장 준비 중
💡 10. SWOT 분석 요약
강점 (S) | 약점 (W) |
---|---|
국내 스마트카드 1위 | 스마트카드·블랙박스 국내 비중 높음 |
고부가 기술력 (메탈, 지문) | 신사업 매출 비중 낮음 |
다양한 고객 기반 | 브랜드 해외 인지도 한계 |
기회 (O) | 위협 (T) |
---|---|
해외 수요 증가 (동남아 등) | 글로벌 경쟁 격화 |
eSIM·IoT 등 디지털 전환 | 환율, 공급망 리스크 |
고부가 제품 확대 | 특허·보안 리스크 |
📌 요약 한마디
“유비벨록스는 스마트카드·차량 IT·생활가전을 바탕으로, 기술력과 글로벌 확장성을 갖춘 IT융합기업입니다. 미래 성장동력 확보에 적극 투자 중입니다.”
유비벨록스(UBIVELOX) 기업 개요 및 경쟁력
업체 개요
2000년 설립, 모바일기기 플랫폼 개발을 주력으로 시작해 스마트카드, 블랙박스, 지도 플랫폼, 환경생활가전 등으로 사업 다각화610.
2009년 유비닉스와 합병, 2010년 코스닥 상장. 본사는 서울 구로구에 위치6.
경영진
기술력
스마트카드 국내 시장점유율 1위, BLE, 메탈, 지문인식 등 고부가가치 IC칩 플랫폼 개발6.
모바일 신분증, eID, 차량용 디지털키, eSIM, IoT 보안·인증 솔루션 등 다양한 기술 보유6.
블랙박스, 지도 플랫폼, 환경가전(로봇청소기, 헤어드라이기 등)으로 기술 확장6.
실적추이
주요 매출처
공공기관(모바일 신분증, 운전면허증), 국내외 완성차 업체(디지털키), 가전회사, 전력회사, 대형마트 및 홈쇼핑 등6.
해외 30개국(미국, 중국, 유럽, 중동, 아프리카 등)에 제품 공급6.
시장 점유율
해외매출
투자현황
향후 전망
“스마트카드·블랙박스·환경가전 등 주력사업의 시너지와 신기술 개발로 지속 성장 도모”6.
요약
유비벨록스는 스마트카드 국내 1위, 블랙박스·지도·가전 등 다양한 IT플랫폼을 보유한 혁신기업으로, 국내외 시장에서 기술력과 성장성을 인정받고 있다. 신사업 확대와 글로벌 진출로 중장기 성장 모멘텀을 강화 중이다679.
유비벨록스의 기술력
스마트카드 및 IC칩
국내 스마트카드 시장 점유율 1위로, 신용카드·신분증·교통카드 등 다양한 분야에 고부가가치 IC칩(메탈카드, BLE카드 등)을 공급합니다79.
카드 보안성이 매우 뛰어나 위·변조 및 복제가 어렵고, 개인정보 유출 방지에 강점을 가집니다2.
NFC·eSIM·양자내성암호
NFC(근거리 무선통신) 기반 모바일 결제·신분증 등 다양한 솔루션을 자체 개발, 국내외 금융·공공기관에 공급합니다5.
eSIM(내장형 유심) 기술과 양자내성암호 적용 등 보안 플랫폼 기술을 확보해 미래 인증 시장을 선도합니다4.
차량 IT·블랙박스·지도
AI·클라우드 기반 실시간 커넥티드 블랙박스, 차량용 IoT, ADAS(첨단운전자보조) 고정밀 지도, 자율주행 협력제어 등 첨단 차량 IT 기술을 보유합니다68.
BMW, 현대차 등 글로벌 완성차와 협력, 블랙박스·지도 플랫폼을 공급합니다8.
IoT·보안 인증
AI·빅데이터·딥러닝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운행 패턴 분석, 음성비서·챗봇 등 AI·딥러닝 기반 서비스 개발 역량을 갖추고 있습니다6.
정리
유비벨록스는 스마트카드, NFC, eSIM, 차량 IT, IoT 보안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국내 최고 수준의 기술력과 시장 경쟁력을 보유한 기업입니다. 혁신적인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융합 기술로, 금융·공공·모빌리티·스마트홈 등 미래 성장 산업을 선도하고 있습니다247810.
유비벨록스의 주요 매출처
환경생활가전 부문: 로봇청소기(로보락 국내 총판), 음식물 처리기(MUMU), 글로벌 스마트워치(어메이즈핏) 등 다양한 생활가전을 국내 대형 유통채널(마트, 홈쇼핑 등)에 공급합니다15.
블랙박스 및 지도 플랫폼: 팅크웨어를 통해 BMW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와 협력, 차량용 블랙박스와 내비게이션·지도 플랫폼을 공급합니다15.
스마트카드 부문: 국내 금융사, 통신사, 교통·방송 등 공공기관이 주요 고객이며, 베트남, 중동, 태국, 인도네시아 등 해외 시장에도 스마트카드를 수출합니다157.
모바일 플랫폼 및 솔루션: SK텔레콤, LG텔레콤 등 이동통신사와 협력해 모바일 플랫폼, 마이데이터 서비스, IoT 관련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공급합니다6.
이처럼 유비벨록스는 국내외 대형 유통채널, 완성차 업체, 금융·공공기관, 이동통신사 등 다양한 산업군을 매출처로 확보하고 있습니다.
유비벨록스의 투자 현황
주요 주주 및 지분 구조
사업 및 R&D 투자
IR 및 대외 활동
정기적으로 기업설명회(IR) 개최, 투자자 대상 사업 현황 및 성장 전략 공유
투자 유망기업 행사 참가 등 대외 홍보 및 투자자 네트워크 강화5
유비벨록스는 안정적인 지분 구조와 함께 신사업 및 글로벌 진출을 위한 R&D 투자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유비벨록스 연구개발(R&D) 현황
핵심 연구개발 분야
스마트카드(IC칩) 고도화: 메탈카드, 친환경카드, BLE(저전력 블루투스)카드, 생체인식(지문)카드 등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에 집중610.
KLSC(한국전용스마트카드): 국내 카드사와 협력해 독자 IC카드 표준(KLSC) 개발 및 상용화 완료. 유비벨록스가 독점 개발사로 선정되어 국내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 확보56.
IoT·보안플랫폼: 삼성전자, KB국민카드 등과 협업해 IoT 인증·보안 시스템, 스마트싱스 연동 BLE카드 등 신기술 상용화610.
eSIM·양자내성암호: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주관 국책과제 참여, 양자내성암호 기반 eSIM 보안플랫폼 기술 개발9.
블록체인·AI: IoT 가전·헬스케어·차량 관제용 블록체인망, AI 기반 데이터 분석·보안 솔루션 연구10.
연구개발 조직 및 투자
전담 R&D 조직과 스마트카드 제조공장(충북 진천), 신규 공장(경기 안산) 운영10.
2023년 기준 R&D 투자비용은 수백억 원 규모로, 연 매출의 약 3~5%를 연구개발에 지속 투자7.
주요 성과 및 확장
고부가가치 IC칩 생산능력(연 80만장) 증설, 해외(동남아·미국 등) 및 프리미엄 시장 대응6.
유비벨록스는 스마트카드, IoT, 보안, AI 등 핵심 IT 융합기술을 중심으로 R&D 역량을 강화하며, 신시장과 신제품 개발에 적극 투자하고 있습니다.
유비벨록스 향후 전망
실적 성장세 지속
환경생활가전(로보락 등)과 스마트카드, 블랙박스 사업이 모두 호조를 보이며, 2024년 연결 매출액은 전년 대비 18~26% 성장한 6,400억~6,800억 원, 영업이익은 24~32% 증가한 600억 원대가 예상됩니다369. 온라인 중심에서 오프라인 유통망 확대, 계절성 수요 반영 등으로 하반기에도 견조한 성장이 기대됩니다3.고부가가치 스마트카드 확대
메탈카드, BLE카드 등 고이익 제품 비중이 높아지면서 별도 영업이익률 개선이 전망됩니다. 스마트카드 시장에서 독점적 지위를 바탕으로, 신규 경쟁사 진입 리스크도 낮은 상태입니다69.해외 및 신시장 진출
연간 80만장 규모의 IC칩 생산능력 증설, 동남아·아시아 중심의 해외 매출 확대, BMW향 블랙박스 등 글로벌 고객사 공급 증가로 해외 성장 모멘텀이 강화되고 있습니다910.기술력 기반 신사업
eSIM, 양자내성암호, IoT 인증 등 미래 보안·인증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며, 국산화 프로젝트 및 5G 특화망 등 신사업도 적극 추진 중입니다78.중장기 성장성
자회사 실적 급성장, 아이나비시스템즈 상장 추진 등 그룹 차원의 성장 동력도 확보하고 있습니다.
다만, 글로벌 경기 변동과 경쟁 심화 등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도 지적됩니다4.
요약
유비벨록스는 주력사업의 호조와 고부가가치 제품 확대, 해외 시장 진출, 미래 기술 선점 등으로 중장기적 성장세가 유효할 전망입니다. 혁신과 리스크 관리가 병행된다면 안정적 실적 개선과 시장 지위 강화가 기대됩니다.
유비벨록스의 eSIM 국산화
보안 및 인증 자립도 강화
기존에는 해외 기술에 의존하던 eSIM(모듈, 단말, 서버) 핵심 기술을 자체 개발함으로써, 국내에서 보안과 인증을 스스로 관리할 수 있게 되어 외부 의존에 따른 보안 취약점과 공급망 리스크를 줄일 수 있습니다135.첨단 보안기술 적용
국산 eSIM에는 KCMVP(국정원 암호모듈검증) 인증 암호와 양자내성암호(PQC) 등 최신 보안기술이 적용됩니다. 또한, eSIM의 부채널(사이드 채널) 취약점 분석 및 대응 기술도 개발해 해킹이나 정보 유출 위험을 한층 낮출 수 있습니다26.사업 확장 및 신뢰성 확보
자체 보안 플랫폼을 기반으로 자동차, 가전, IoT, 스마트팩토리 등 다양한 산업군에 보안·인증 서비스를 확대할 수 있습니다. 이는 고객사와 시장에서의 신뢰도를 높이고, 5G 특화망 등 미래 네트워크 환경에서 주도권을 확보하는 데 유리합니다135.
요약하면, eSIM 국산화는 유비벨록스의 보안 전략을 한 단계 끌어올려 기술 자립, 첨단 보안, 사업 확장 등에서 경쟁력을 크게 강화하는 계기가 되고 있습니다.
유비벨록스 SWOT 분석
강점(Strengths)
스마트카드, 블랙박스/지도 시장에서 각각 35%, 60%의 점유율로 국내 1위의 압도적 경쟁력 보유1011.
고부가가치 IC칩, 메탈카드 등 차별화된 기술력과 생산능력, KLSC(국내 스마트카드 표준) 독점 개발사 지위8.
다양한 산업(금융, 공공, 자동차, 가전 등)과 해외 30여 개국에 걸친 고객 기반9.
약점(Weaknesses)
기회(Opportunities)
eSIM, IoT, 마이데이터 등 신기술·신사업 시장의 성장과 정부·공공기관의 디지털 전환9.
위협(Threats)
요약
유비벨록스는 국내 시장에서의 압도적 점유율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으나, 사업 다각화와 글로벌 경쟁력 강화, 외부 리스크 관리가 중장기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