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체#칩스앤미디어#5

 




칩스앤미디어 기업 개요 및 현황

업체 개요

  • 2003년 설립, 코스닥 상장(2015년)

  • 시스템 반도체 설계자산(IP) 개발 및 판매 전문 기업

  • 주요 사업: 비디오 IP, 이미지 신호처리, 인공지능 기반 컴퓨터 비전 IP 등79


경영진

  • 주요 경영진 정보는 최신 리포트에 명시되어 있지 않으나, 최근 임원 스톡옵션 논란 및 경영 투명성 요구가 제기됨5


기술력

  • AI, 컴퓨터 비전, 영상처리 등 첨단 반도체 IP 기술 보유

  • TV, 셋톱박스, 자동차, 드론, 모바일 등 다양한 분야에 IP 공급

  • 글로벌 150여 개 고객사(삼성전자, 구글, 퀄컴, NXP, AMD, 메타 등)69


실적추이

  • 2021년: 매출 200억원, 영업이익 52억원

  • 2022년: 매출 241억원(+20.6%), 영업이익 73억원(+40.5%)

  • 2023년: 매출 276억원(+14.4%), 영업이익 77억원

  • 2024년: 매출 271억원(-1.8%, 전망치), 영업이익 53억원(감소)

  • 2025년: 매출 308억원(+13.6%, 전망치), 영업이익 74억원(예상)7810


주요 매출처

  • 중국(2023년 기준 61% 비중, 169억원), 미국(69억원), 한국(16.6억원), 일본(16.4억원)

  • 고객사: 글로벌 팹리스 및 빅테크(삼성, 구글, 퀄컴, AMD 등)69


시장 점유율

  • 반도체 영상처리 IP 분야 국내 1위, 글로벌 경쟁사로는 Synopsys, CEVA, Lattice 등8


해외매출

  • 전체 매출의 90~95%가 해외에서 발생6910

  • 중국, 미국 중심으로 매출 확대, 최근 중국 AI 반도체 업체와 JV 설립911


투자현황

  • 기관 매수세 유지, 외국인 매도세 두드러짐

  • 최근 실적 부진과 주가 하락에 따른 투자자 불만 존재11


향후 전망

  • AI, 자율주행, 데이터센터 등 신성장 시장 진출로 성장 기대

  • 중국 JV 통한 현지 매출 확대 및 글로벌 경쟁력 강화

  • 다만, 글로벌 경기 변동성, 투자 부담, 경영 투명성 문제 등 리스크 상존511

칩스앤미디어는 AI·영상처리 반도체 IP 시장에서 기술력과 글로벌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꾸준한 성장을 이어가고 있으나, 최근 실적 변동성과 경영 이슈가 혼재되어 있어 투자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칩스앤미디어의 주요 기술 혁신

1. 영상 특화 NPU(Neural Processing Unit)

  • 세계 유일의 영상 전용 NPU 기술을 개발, 슈퍼 레졸루션(SR), 노이즈 리덕션(NR), 객체 검출(OD) 등 AI 기반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온-디바이스에서 실시간 구동 가능357.

  • 일반 NPU 대비 10~20% 크기로 소형화, DRAM 접근 없이 데이터 처리해 저지연·저전력·고효율 구현357.

  • 이 NPU IP는 AI SoC, 엣지 디바이스, 자동차(ADAS/자율주행), 가전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중78.

2. 차세대 비디오 코덱 IP

  • 압축 효율과 성능이 대폭 향상된 차세대 비디오 코덱 개발, 스트리밍·방송·프로슈머 시장에서 경쟁력 강화45.

  • APV(Advanced Professional Video) 코덱 생태계 개발에 삼성전자, 구글, 퀄컴 등과 협력35.

3. 슈퍼 레졸루션 및 AI 영상처리

  • 저화질 영상을 고화질로 변환하는 딥러닝 기반 슈퍼 레졸루션 기술, 타사 대비 80% 소형화 및 저전력 실현678.

  • 노이즈 제거, HDR, 이미지 왜곡 보정, 객체 인식 등 영상 품질 및 인식력 혁신68.

4. TSMC 오픈 이노베이션 파트너(OIP)

  • 국내 유일, 세계적 반도체 설계 생태계에서 혁신적 기술 인프라를 활용해 설계-양산-시장 진입까지의 시간을 단축7.

칩스앤미디어는 AI와 영상처리 IP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 혁신을 지속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칩스앤미디어 주요 매출처 및 매출 비중

국가별 매출 비중(2023년 기준)

  • 중국: 46~61% (자료별 차이, 2023년 약 61.4%로 가장 높은 비중)610

  • 미국: 약 22~25%7

  • 한국: 약 6%

  • 일본: 약 6%

  • 대만 등 기타: 소수


주요 산업 및 고객사

  • 산업별:

    • AI 반도체, 데이터센터, 서버, 보안감시(서베일런스), 디지털 TV, 셋톱박스, 스포츠/액션카메라, 자동차(자율주행·ADAS·인포테인먼트), 모바일 등3

  • 대표 고객사:

    • 글로벌 팹리스 및 빅테크(삼성전자, 구글, 퀄컴, NXP, AMD, 메타 등)

    • 중국: AI SoC 및 데이터센터용 팹리스(합작법인 설립 포함)

    • 미국: 데이터센터, 서버, AI 반도체 기업

    • 일본: 자동차, 전장, 네트워크 카메라 업체


특징

  • 전체 매출의 90% 이상이 해외에서 발생하며, 중국과 미국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음67

  • 150개 이상의 글로벌 고객사 네트워크 보유3

  • 매출 구조는 라이선스(선급금)와 로열티(판매량 연동)로 구성


요약
칩스앤미디어는 중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AI, 데이터센터, 자동차, 모바일 등 다양한 글로벌 기업에 영상처리 및 AI 반도체 IP를 공급하며, 전체 매출의 대부분이 해외에서 발생합니다6107.


칩스앤미디어 투자현황

  • 최근 주가는 16,870원(2025년 4월 16일 기준)으로, 52주 최고가(26,800원) 대비 약 37% 하락, 최저가(11,250원) 대비 50% 이상 상승한 상태입니다57.

  • 외국인 투자자의 지속적인 매도세(최근 109,500주 순매도)가 주가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반면, 기관 투자자는 순매수세를 보이고 있습니다7.

  • PER(주가수익비율)은 34.99배로, 성장 기대감이 반영된 고평가 구간에 있습니다5.

  • 최근 라이선스 계약 건수 증가(2023년 19건 → 2024년 29건)와 AI·데이터센터 SoC 시장 확대에 힘입어 매출 기반 다변화가 진행 중입니다29.

  • 현금 배당 정책 발표와 소수주주 권익 강화 등 주주 친화적 정책을 도입하고 있습니다2.

  • 투자자들은 자사주 매입, 소각 등 추가 주주가치 제고 방안을 요구하고 있습니다2.

  • 업계에서는 AI 반도체·로열티 매출 본격화, 글로벌 고객사 확대 등으로 중장기 성장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가 많습니다9.

요약: 외국인 매도세와 실적 변동성으로 단기 주가 변동이 크지만, AI·로열티 매출 확대와 주주 친화 정책 등으로 중장기 성장 기대가 유지되고 있습니다.



칩스앤미디어 연구개발(R&D) 현황

1. AI 영상처리 NPU 자체 개발

  • 슈퍼 레졸루션(SR), 노이즈 리덕션(NR), 객체 검출(OD) 등 AI 기반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실시간으로 구동하는 영상 특화 NPU(Neural Processing Unit) 개발을 완료6910.

  • 이 NPU는 기존 NPU 대비 10~20% 크기, DRAM 접근 없이 데이터 처리, 저전력·고효율·저지연을 실현6910.

  • 엔비디아 GPU 대비 10배 빠른 연산 속도를 목표로, 데이터센터·AI PC·자율주행차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중611.

2. 슈퍼 레졸루션 IP 및 차세대 비디오 코덱

  • 딥러닝 기반 슈퍼 레졸루션 IP는 최대 8K60fps까지 실시간 고화질 영상 구현, 글로벌 대형 고객사에 공급710.

  • 삼성전자, 구글, 퀄컴 등과 APV(Advanced Professional Video) 생태계 개발에 참여, 차세대 비디오코덱 HW IP를 2025년 상용화 예정49.

3. 신규 시장 및 고객 확대

  • AI 반도체 시장 진출 및 글로벌 주요 고객사 신규 프로젝트 수주를 통한 성장 모멘텀 확보45.

  • 중국, 일본 등지에서 AI SoC, 자동차용 반도체 등 신규 수요에 대응해 JV 설립 및 영업 강화48.

4. R&D 전략 및 방향

  • AI, 자율주행, 데이터센터, AR/VR 등 신성장 시장을 겨냥한 IP 포트폴리오 다변화

  • CPU·GPU를 대체할 수 있는 시스템반도체 핵심 IP 개발 가속화6

  • 고객 맞춤형 서비스와 글로벌 협업을 통한 기술 경쟁력 강화11

칩스앤미디어는 AI·영상처리 특화 반도체 IP 기술을 중심으로 차별화된 R&D 역량을 확보하고, 글로벌 시장 선도를 목표로 연구개발을 지속 확대하고 있습니다.



칩스앤미디어 향후 전망

  • 라이선스 계약 급증과 신시장 진출
    2024년 라이선스 계약 건수가 29건으로 전년 대비 52.6% 증가하며, 차량·가전·AI PC·데이터센터 등 신규 고객사와의 계약이 확대되었습니다. 특히 NPU IP의 첫 라이선스 계약 체결과 AI PC, 데이터센터 AI SoC 시장 진출이 향후 로열티 매출 성장의 핵심 동력이 될 전망입니다1.

  • 로열티 매출 본격화
    AI 반도체 수요 증가와 고성능 칩 시장 확대로 로열티 기반 수익이 본격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2025년에는 중국 경기 부양책과 신규 고객 확보로 일시적 감소세였던 로열티 매출도 회복세로 전환될 전망입니다35.

  • 기술 혁신과 글로벌 협력
    삼성전자, 구글, 퀄컴 등과 APV(차세대 초고화질 비디오) 생태계 구축에 참여하며, 2025년 APV HW IP 상용화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스마트폰, PC, TV, VR 등 다양한 기기에 최적화된 영상처리 기술을 제공할 계획입니다1.

  • AI·AR·MR 등 신성장 시장 확대
    AI 칩 시장이 연평균 2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AR·MR 기기용 Micro-LED 등 신제품 라인업 강화가 매출 증대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2.

  • 경쟁 및 리스크
    글로벌 경쟁 심화와 가격 경쟁, 미·중 반도체 갈등 등 지정학적 리스크는 상존하나, 기술력과 고객 다변화, 정부 정책 지원(K칩스법 등)으로 대응력을 높이고 있습니다26.

요약
칩스앤미디어는 AI·데이터센터·차량 등 신규 시장에서의 라이선스 및 로열티 매출 확대, 글로벌 협업, 신기술 상용화에 힘입어 중장기 성장세가 기대됩니다. 다만, 경쟁 심화와 지정학적 변수는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할 리스크입니다.




칩스앤미디어 SWOT 분석

강점(Strengths)

  • AI·초고화질 영상처리 등 첨단 반도체 IP 기술력 보유,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 경쟁력 확보356.

  • 삼성전자, 구글, 퀄컴 등 글로벌 빅테크와 협업, 150여 개 글로벌 고객사 네트워크57.

  • 라이선스 및 로열티 기반의 안정적 수익 구조, AI·데이터센터 등 신성장 시장 진출 가속화356.

약점(Weaknesses)

  • 매출의 90% 이상이 해외(특히 중국·미국)에 집중, 지정학적 리스크 및 수요 변동에 취약568.

  • R&D 비용 및 인건비 증가로 인한 수익성 압박, 실적 변동성 존재68.

  • 시가총액 대비 매출 규모가 낮아 성장성에 대한 투자자 우려8.

기회(Opportunities)

  • AI 확산, 자율주행, 데이터센터 등 영상처리 수요 급증으로 신규 시장 확대 가능성356.

  • 중국 AI·자동차·데이터센터 시장 성장, 현지 JV 설립 등으로 매출 다변화 기대56.

  • 미·중 반도체 분쟁 등 글로벌 공급망 변화에 따른 반사이익6.

위협(Threats)

  • 글로벌 경기 둔화 및 반도체 업황 변동에 따른 실적 불확실성8.

  • 경쟁 심화(글로벌 IP 업체, 자체 개발 비중 증가), 시장 점유율 방어 필요36.

  • R&D 투자 부담 지속, 경영 투명성 및 주주가치 제고 요구 증가8.

칩스앤미디어는 AI·영상처리 IP 기술력과 글로벌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성장 기회를 확보하고 있으나, 실적 변동성 및 해외 의존도, 비용 부담 등 구조적 리스크 관리가 중요합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신문#25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