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 #안전한 투자
자본총계와 장부상가치(장부가치) 차이점 핵심 요약
자본총계와 장부상가치(장부가치)는 실질적으로 같은 개념으로, 모두 총자산에서 총부채를 뺀 값인 ‘순자산’을 의미합니다. 즉, 재무상태표의 가장 아래에 있는 ‘자본’ 항목이며, 주주 몫의 순수한 자기자본입니다156.
장부가치는 회계 기준에 따라 계산된 수치로, 자본총계와 동일하게 사용되지만, 실제 시장가치나 청산가치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자산평가 기준(취득원가 등)과 회계처리 방식의 영향으로 왜곡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156.
정리
자본총계 = 장부상가치 = 순자산 = 총자산 – 총부채
둘 다 주주 입장에서 ‘장부상 자기 몫’을 나타내며, 회계상 수치임
실제 시장가치(시가총액)와는 다를 수 있음
구분 | 정의 | 특징/차이점 |
---|---|---|
자본총계 | 총자산 – 총부채 | 재무상태표상 자본, 장부가치와 동일 |
장부상가치 | 총자산 – 총부채 (장부가치, Book Value) | 회계상 계산된 자기자본, 시장가치와 다름 |
현금 및 현금성 자산 vs 이익잉여금 차이점 핵심 요약
현금 및 현금성 자산
이익잉여금
이익잉여금 = 그동안 벌어들인 이익의 누적 합계(회계상 숫자)
현금 및 현금성 자산 = 실제로 지금 회사가 갖고 있는 현금
현금 및 현금성 자산과 당좌자산 차이점 핵심 요약
현금 및 현금성 자산
당좌자산
구분 | 범위 | 예시 |
---|---|---|
현금 및 현금성 자산 | 가장 좁음 | 현금, 당좌예금, 보통예금, 단기금융상품 등 |
당좌자산 | 더 넓음 | 현금 및 현금성 자산, 매출채권, 미수금 등 |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