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 #안전한 투자



 

자본총계와 장부상가치(장부가치) 차이점 핵심 요약

  • 자본총계와 장부상가치(장부가치)는 실질적으로 같은 개념으로, 모두 총자산에서 총부채를 뺀 값인 ‘순자산’을 의미합니다. 즉, 재무상태표의 가장 아래에 있는 ‘자본’ 항목이며, 주주 몫의 순수한 자기자본입니다156.

  • 장부가치는 회계 기준에 따라 계산된 수치로, 자본총계와 동일하게 사용되지만, 실제 시장가치나 청산가치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자산평가 기준(취득원가 등)과 회계처리 방식의 영향으로 왜곡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156.

  • 정리

    • 자본총계 = 장부상가치 = 순자산 = 총자산 – 총부채

    • 둘 다 주주 입장에서 ‘장부상 자기 몫’을 나타내며, 회계상 수치임

    • 실제 시장가치(시가총액)와는 다를 수 있음

구분정의특징/차이점
자본총계총자산 – 총부채재무상태표상 자본, 장부가치와 동일
장부상가치총자산 – 총부채 (장부가치, Book Value)회계상 계산된 자기자본, 시장가치와 다름
  • 결론: 용어만 다를 뿐, 실무상 의미와 계산법은 같습니다. 다만, 장부상 수치라 실제 가치와는 다를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156.



현금 및 현금성 자산 vs 이익잉여금 차이점 핵심 요약

  • 현금 및 현금성 자산

    • 실제로 회사가 보유한 현금, 당좌예금, 단기 금융상품 등 즉시 사용 가능한 자산234.

    • 유동성이 매우 높아 바로 지급이나 투자에 쓸 수 있음.

  • 이익잉여금

    • 회사가 영업활동 등으로 벌어들인 누적 이익 중 배당이나 처분되지 않고 회사에 남아 있는 금액13.

    • 회계상 기록일 뿐, 반드시 현금 형태로 보유되어 있지 않음. 설비투자, 자산구입 등으로 이미 사용된 부분이 많음38.

이익잉여금 = 그동안 벌어들인 이익의 누적 합계(회계상 숫자)
현금 및 현금성 자산 = 실제로 지금 회사가 갖고 있는 현금

  • 정리

    • 이익잉여금이 많다고 해서 현금이 많은 것은 아님138.

    •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실제 사용 가능한 돈, 이익잉여금은 회계상 남아 있는 이익의 기록.



현금 및 현금성 자산과 당좌자산 차이점 핵심 요약

  • 현금 및 현금성 자산

    • 실제 현금, 당좌예금, 보통예금, 만기 3개월 이내의 단기 금융상품 등 즉시 사용 가능한 자산만 포함51.

    • 유동성이 가장 높음.

  • 당좌자산

    •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을 포함해, 단기금융상품, 매출채권(외상매출금), 미수금, 선급금, 선급비용 등 1년 이내 현금화 가능한 자산 전체를 의미157.

    • 재고자산을 제외한 유동자산의 대부분을 포괄함.

구분범위예시
현금 및 현금성 자산가장 좁음현금, 당좌예금, 보통예금, 단기금융상품 등
당좌자산더 넓음현금 및 현금성 자산, 매출채권, 미수금 등
  • 정리

    • 현금 및 현금성 자산 ⊂ 당좌자산

    • 당좌자산은 현금 및 현금성 자산보다 범위가 넓다15.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신문#250312